허베이성(河北省) 개황
면적 | 18만 7,700㎢ | |
---|---|---|
인구 | 7,185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스자좡(石家莊), 11개 시(市), 22개 현급시(縣級市), 114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스자좡(石家莊): 1월 평균 -1℃, 7월 평균 28℃, 연평균 강수량 1,097㎜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1,409억 달러 |
1인당 GDP | 4,341달러 | |
수출입 총액 | 419억 3,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 수도인 베이징(北京)과 직할시인 톈진(天津)을 둘러싸고 있는 한국의 경기도와 같은 수도권 지역 |
허난성(河南省) 개황
면적 | 16만 7,000㎢ | |
---|---|---|
인구 | 9,869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정저우(鄭州), 17개 시(市), 21개 현급시(縣級市), 89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정저우(鄭州): 1월 평균 0.6℃, 7월 평균 26.8℃, 연평균 강수량 628㎜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3,543억 달러 |
1인당 GDP | 3,590달러 | |
수출입 총액 | 177억 9,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예로부터 '중원(中原)2)'으로 일컬어져 온 곳으로 쓰촨성(四川省)·충칭시(重慶市) 분리(1997년 3월) 이후 중국 내 최대의 성(省)으로 부상 |
산둥성(山東省) 개황
면적 | 15만 6,700㎢ | |
---|---|---|
인구 | 9,519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지난(濟南), 17개 시(市), 31개 현급시(縣級市), 60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지난(濟南): 1월 평균 0.2℃, 7월 평균 27.1℃, 연평균 강수량 834㎜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4,950억 달러 |
1인당 GDP | 5,240달러 | |
수출입 총액 | 1,889억 5,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화베이(華北)평원과 황허(黃河)를 끼고 발달한 반도지역으로 랴오닝성(遼寧省)·허베이성(河北省)과 베이징(北京)·톈진(天津)을 포괄하는 '환보하이(環渤海)경제권'의 중심지역 |
산시성(山西省) 개황
면적 | 15만 6,300㎢ | |
---|---|---|
인구 | 3,571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타이위안(太原), 10개 시(市), 12개 현급시(縣級市), 85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타이위안(太原): 1월 평균 ·5℃, 7월 평균 23℃, 연평균 강수량 652㎜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1,404억 달러 |
1인당 GDP | 3,932달러 | |
수출입 총액 | 125억 8,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산시고원(山西高原)에 위치하여 산지가 많고 강우량이 적어 10년 중 9년은 가뭄이 들 정도로 물 부족현상이 심각 |
랴오닝성(遼寧省) 개황
면적 | 14만 5,700㎢ | |
---|---|---|
인구 | 4,298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선양(瀋陽), 14개 시(市), 17개 현급시(縣級市), 27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선양(瀋陽): 1월 평균 ·11.4℃, 7월 평균 23.6℃, 연평균 강수량 721.3㎜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2,823억 달러 |
1인당 GDP | 6,568달러 | |
수출입 총액 | 806억 7,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 중공업 기반의 경제구조 |
지린성(吉林省) 개황
면적 | 18만 7,400㎢ | |
---|---|---|
인구 | 2,746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창춘(長春), 8개 시(市), 20개 현급시(縣級市), 21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창춘(長春): 1월 평균 -13.7℃, 7월 평균 22.6℃, 연평균 강수량 490.2㎜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1,112억 달러 |
1인당 GDP | 4,050달러 | |
수출입 총액 | 168억 5,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북한과 국경(압록강·두만강)을 맞대고 있으며 '옌볜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가 위치, 훈춘시(琿春市) 팡촨(防川)에서 동해까지 거리는 15㎞ |
헤이룽장성(黑龍江省) 개황
면적 | 45만 3,800㎢ | |
---|---|---|
인구 | 3,831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하얼빈(哈爾濱), 12개 시(市), 19개 현급시(縣級市), 47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하얼빈(哈爾濱): 1월 평균 -15.3℃, 7월 평균 23℃, 연평균 강수량 480.7㎜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1,213억 달러 |
1인당 GDP | 3,172달러 | |
수출입 총액 | 255억 달러 | |
지역 특징 | 최북단(最北端)에 위치하여 러시아와의 국경무역이 활발 |
장쑤성(江蘇省) 개황
면적 | 10만 2,600㎢ | |
---|---|---|
인구 | 7,676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난징(南京), 13개 시(市), 27개 현급시(縣級市), 27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난징(南京): 1월 평균 -2.5℃, 7월 평균 26.8℃, 연평균 강수량 1,213㎜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4,987억 달러 |
1인당 GDP | 6,475달러 | |
수출입 총액 | 4,657억 9,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 상하이(上海)와 더불어 중국경제를 이끌어온 선진(先進)지역으로 사회간접자본과 교통 여건이 비교적 양호한 편 |
푸젠성(福建省) 개황
면적 | 12만㎢ | |
---|---|---|
인구 | 3,689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푸저우(福州), 9개 시(市), 15개 현급시(縣級市), 46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푸저우(福州): 1월 평균 11.4℃, 7월 평균 29.5℃, 연평균 강수량 1,339㎜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2,221억 달러 |
1인당 GDP | 6,157달러 | |
수출입 총액 | 1,087억 8,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 광둥성(廣東省)과 함께 대다수 해외 화교(華僑)의 원적지로 '교향(僑鄕)'이라 불리며, 타이완(臺灣) 인구의 80%도 푸젠성 출신 |
장시성(江西省) 개황
면적 | 16만 7,000㎢ | |
---|---|---|
인구 | 4,456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난창(南昌), 11개 시(市), 10개 현급시(縣級市), 70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난창(南昌): 1월 평균 5℃, 7월평균 28.7℃, 연평균 강수량 1,353㎜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1,459억 달러 |
1인당 GDP | 3,274달러 | |
수출입 총액 | 214억 7,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 난창(南昌)봉기, 징강산(井岡山), 2만 5,000리(里) 장정(長征) 등 마오쩌둥(毛澤東) 공산혁명의 발원지로 유명 |
후베이성(湖北省) 개황
면적 | 18만 5,900㎢ | |
---|---|---|
인구 | 5,723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우한(武漢), 12개 시(市), 24개 현급시(縣級市), 39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우한(武漢): 1월 평균 4.3℃, 7월 평균 28℃, 연평균 강수량 1,319㎜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2,429억 달러 |
1인당 GDP | 4,244달러 | |
수출입 총액 | 259억 1,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양쯔강(揚子江, 長江)을 따라 『삼국지(三國志)』 유적이 다수 위치해 있으며, 성도(省都) 우한(武漢)은 양쯔강 중류 최대 거점항구인 동시에 자동차·철강 도시 |
후난성(湖南省) 개황
면적 | 21만㎢ | |
---|---|---|
인구 | 6,568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창사(長沙), 13개 시(市), 16개 현급시(縣級市), 72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창사(長沙): 1월 평균 4.6℃, 7월평균 28.3℃, 연평균 강수량 1,396㎜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2,456억 달러 |
1인당 GDP | 3,739달러 | |
수출입 총액 | 146억 7,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 후난성은 천연자원이 풍부하여 '어미지향(魚米之鄕)' '유색금속지향(有色金屬之鄕)' '족행승지(族行勝地)'로 불리며, 남악(南岳)이라고도 하는 헝산(衡山)은 중국 5대 명산의 하나 |
광둥성(廣東省) 개황
면적 | 17만 7,900㎢ | |
---|---|---|
인구 | 1억 430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광저우(廣州), 21개 시(市), 26개 현급시(縣級市), 45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광저우(廣州): 1월 평균 13.9℃, 7월평균 28.5℃, 연평균 강수량 1,683㎜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6,687억 2,000만 달러 |
1인당 GDP | 6,885.4달러 | |
수출입 총액 | 7,846억 6,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명대(明代) 이래 서방 문물도입의 창구역할을 해 왔으며 개혁·개방 이후에도 선전(深圳)·주하이(珠海)·산터우(汕頭) 등 성(省)내 3개 지역이 최초로 경제특구(經濟特區)로 지정되면서 중국 전체 경제발전을 선도 |
안후이성(安徽省) 개황
면적 | 14만㎢ | |
---|---|---|
인구 | 5,950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허페이(合肥), 17개 시(市), 5개 현급시(縣級市), 56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동계(1월) -1℃~4℃, 하계(7월) 28℃~29℃, 연평균 강수량 750㎜~1,700㎜ · 광물자원은, 석탄, 철, 구리, 황, 명반석 등은 5대 광산을 포함 총 158종(매장량이 확인된 광물은 118종)의 광물자원 보유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1,894억 달러 |
1인당 GDP | 3,183달러 | |
수출입 총액 | 242억 8,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 안후이성은 사계절이 분명하고 주위의 아름다운 경관 때문에 '금수하산(錦綉河山)', '환산환수(皖山皖水)5)' 등으로 불림 |
하이난성(海南省) 개황
면적 | 3만 3,900㎢ | |
---|---|---|
인구 | 867만 1,500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하이커우(海口), 2개 시(市), 6개 현급시(縣級市), 10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하이커우(海口): 1월 평균 18.9℃, 7월평균 29.6℃, 연평균 강수량 1,406㎜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300억 달러 |
1인당 GDP | 3,461달러 | |
수출입 총액 | 86억 3,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 과거 광둥성(廣東省)에 속한 낙후된 섬에 불과했으나 1988년 4월 중국의 다섯 번째 경제특구로 지정됨과 동시에 성(省)으로 승격 |
쓰촨성(四川省) 개황
면적 | 56만㎢ | |
---|---|---|
인구 | 8,042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청두(成都), 18개 시(市), 14개 현급시(縣級市), 124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청두(成都): 1월 평균 4.8℃, 7월평균 25.9℃, 연평균 강수량 711㎜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2,610억 달러 |
1인당 GDP | 3,245달러 | |
수출입 총액 | 327억 8,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 비옥한 토지와 풍부한 물자로 '천부지국(天賦之國)'이라는 별칭 |
구이저우성(貴州省) 개황
면적 | 17만 6,100㎢ | |
---|---|---|
인구 | 3,474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구이양(貴陽), 4개 시(市), 9개 현급시(縣級市), 67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구이양(貴陽): 1월 평균 4℃, 7월평균 23.9℃, 연평균 강수량 1,177.5㎜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710억 달러 |
1인당 GDP | 2,044달러 | |
수출입 총액 | 31억 4,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 해발 1,000m의 고원(高原)에 위치, 농토가 협소하고 사회간접자본이 부족한 중국 내 최악의 빈곤지역으로 유일한 해상(海上)출구인 광둥성(廣東省) 북부만(北部灣)과의 거리가 500㎞ |
윈난성(雲南省) 개황
면적 | 39만 4,000㎢ | |
---|---|---|
인구 | 4,596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쿤밍(昆明), 6개 시(市), 10개 현급시(縣級市), 109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쿤밍(昆明): 1월 평균 9.2℃, 7월평균 19.9℃, 연평균 강수량 866㎜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1,121억 달러 |
1인당 GDP | 2,439달러 | |
수출입 총액 | 133억 7,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 '춘성(春城)7)'이라 불릴 만큼 온화한 아열대 기후 |
산시성(陝西省) 개황
면적 | 20만 5,600㎢ | |
---|---|---|
인구 | 3,732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시안(西安), 10개 시(市), 3개 현급시(縣級市), 81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시안(西安): 1월 평균 -1.3℃, 7월평균 26.8℃, 연평균 강수량 714㎜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1,556억 달러 |
1인당 GDP | 4,169달러 | |
수출입 총액 | 120억 8,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 춘추전국(春秋戰國)시대 진(秦)의 근거지로 성도(省都) 시안(西安)은 과거 '장안(長安)'으로 불렸던 중국 6대 고도(古都)의 하나이며 진시황릉(秦始皇陵)과 병마용(兵馬俑)으로 유명 |
간쑤성(甘肅省) 개황
면적 | 45만 4,300㎢ | |
---|---|---|
인구 | 2,558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란저우(蘭州), 10개 시(市), 4개 현급시(縣級市), 67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란저우(蘭州): 1월 평균 -4.7℃, 7월평균 21.9℃, 연평균 강수량 369㎜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616억 달러 |
1인당 GDP | 2,408달러 | |
수출입 총액 | 73억 3,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 황투고원(黃土高原), 칭짱고원(靑藏高原), 몽골고원 사이를 따라 동남에서 서북으로 회랑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만리장성의 서쪽끝인 자위관(嘉峪關)이 위치하고 있는 과거 중국 한족(漢族)왕조의 서북방 한계 |
칭하이성(靑海省) 개황
면적 | 73만 7,000㎢ | |
---|---|---|
인구 | 552만 6,700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시닝(西寧), 1개 시(市), 2개 현급시(縣級市), 37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시닝(西寧): 1월 평균 ·9.1℃, 7월 평균 16.5℃, 연평균 강수량 402㎜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209억 달러 |
1인당 GDP | 3,712달러 | |
수출입 총액 | 7억 9,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 해발 2,500m~4,500m의 칭짱고원(靑藏高原)은 양쯔강(揚子江, 長江)·황허(黃河)·란창강(瀾滄江)의 발원지이며, 내륙 수호(水湖)인 칭하이호(靑海湖)가 위치하여 칭하이성(靑海省) 명칭이 유래 |
저장성(浙江省) 개황
면적 | 10만 2,000㎢ | |
---|---|---|
인구 | 5,442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항저우(杭州), 11개 시(市), 22개 현급시(縣級市), 36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항저우(杭州): 1월 평균 4.3℃, 7월 평균 27.6℃, 연평균 강수량 1,482㎜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4,205억 달러 |
1인당 GDP | 7,727달러 | |
수출입 총액 | 2,534억 7,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 '어미지향(魚米之鄕)'·'사다지부(絲茶之府)8)'로 유명하며, 동남(東南) 연해(沿海)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을 이용 조기에 개방 |
네이멍구자치구(內蒙古自治區) 개황
면적 | 118만 3,000㎢ | |
---|---|---|
인구 | 2,470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후허하오터(呼和浩特), 7개 시(市), 13개 현급시(縣級市), 17개 현(縣), 52개 치(旗) | |
자연환경·자원 | · 후허하오터(呼和浩特): 1월 평균 ·12℃, 7월평균 22℃, 연평균 강수량 353㎜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1,795억 달러 |
1인당 GDP | 7,267달러 | |
수출입 총액 | 87억 2,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국내 8개 성(省)·자치구(自治區)와 인접하여 있고 러시아·몽골과 접경(국경선 4,200㎞) |
광시좡족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 개황
면적 | 23만 6,200㎢ | |
---|---|---|
인구 | 4,602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난닝(南寧), 14개 시(市), 7개 현급시(縣級市), 68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난닝(南寧): 1월 평균 11.9℃, 7월평균 28.6℃, 연평균 강수량 1,835㎜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1,397억 4,000만 달러 |
1인당 GDP | 3,189달러 | |
수출입 총액 | 177억 달러 | |
지역 특징 | · 좡족(壯族)을 비롯, 먀오족(苗族)·야오족(瑤族)·둥족(侗族)·징족(京族) 등 소수민족이 자치구 인구의 40%를 점유 |
시짱자치구(西藏自治區) 개황
면적 | 122만 8,400㎢ | |
---|---|---|
인구 | 284만 1,500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라싸(拉薩), 1개 시(市), 1개 현급시(縣級市), 71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라싸(拉薩): 1월 평균 1℃, 7월평균 16℃, 연평균 강수량 448.9㎜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79억 달러 |
1인당 GDP | 2,782달러 | |
수출입 총액 | 8억 4,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 중국 서남부 해발 4,000m의 티베트(Tibet)고원에 위치 |
닝샤후이족자치구(寧夏回族自治區) 개황
면적 | 6만 6,400㎢ | |
---|---|---|
인구 | 630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인촨(銀川), 4개 시(市), 2개 현급시(縣級市), 14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인촨(銀川): 1월 평균 -7.1℃, 7월평균 23.3℃, 연평균 강수량 153.2㎜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255억 달러 |
1인당 GDP | 4,048달러 | |
수출입 총액 | 19억 6,000만 달러 | |
지역 특징 | · 서북부 비옥한 황투고원(黃土高原, 해발 1,000m 이상)에 위치, 농업·광업·전력공업이 발달 |
신장웨이우얼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 개황
면적 | 160만㎢ | |
---|---|---|
인구 | 2,181만 명 | |
행정구역 | 성도(省都)는 우루무치(鳥魚木齊), 2개 시(市), 20개 현급시(縣級市), 68개 현(縣) | |
자연환경·자원 | · 우루무치(鳥魚木齊): 1월 평균 ·15.6℃, 7월평균 24℃, 연평균 강우량 390㎜ | |
경제현황 (2010년) | 국내총생산(GDP) | 약 841억 달러 |
1인당 GDP | 3,876달러 | |
수출입 총액 | 171억 달러 | |
지역 특징 | 위구르(Uyghur)족(47%) 등 소수민족이 전체 인구의 62%를 차지[소수민족은 대부분 이슬람(Islam)교 신봉] |
※ 본 컨텐츠는 2011년 기준으로 작성된 외교통상부 국가개황 자료입니다.(중국 개황, 2012.1.3, 외교부)
辽宁省(요녕성) 吉林省(길림성) 黑龙江省 (흑룡강성) 河北省(하북성) 河南省(하남성)
山东省 (산동성) 陕西省(섬서성) 湖北省(호북성) 湖南省 (호남성) 江苏省 (강소성)
浙江省(절강성) 福建省 (복건성) 江西省(강서성) 安徽省 (안휘성) 广东省 (광동성)
四川省 (사천성) 贵州省(귀주성) 云南省(운남성) 甘肃省(감숙성) 青海省(청해성)
海南省(해남성) 山西省(산서성) 台湾省 (대만성)
*대만성은 현재 독립된구역 입니다.중국정부와 대치하는 상태 입니다.
중국의 성(省)과 행정구역
성(省), 시(市), 자치구 | 한자 | 중국어 발음 | 성(省) 약칭 | 성도(省都) | 인구 | |
4개의 | 북경시 | 北京市 | 베이징쓰 | 京 : 징 | 11,250,000 | |
천진시 | 天津市 | 티엔진쓰 | 津 : 진 | 9,350,000 | ||
상해시 | 上海市 | 상하이쓰 | 13,560,000 | |||
중경시 | 重慶市 | 총칭쓰 | 30,020,000 | |||
23개의 | 흑룡강성 | 黑龍江省 | 헤이룽지양성 | 黑 : 헤이 | 하얼삔 | 36,720,000 |
길림성 | 吉林省 | 지린성 | 吉 : 지 | 長春:창춘 | 25,740,000 | |
요녕성 | 遙寧省 | 리야오닝성 | 遙 : 리야오 | 瀋陽:선양 | 40,670,000 | |
하남성 | 河南省 | 허난성 | 豫 : 위 | 鄭州:쩡쪼우 | 90,270,000 | |
하북성 | 河北省 | 허뻬이성 | 翼 : | 스지야쭈앙 | 63,880,000 | |
산서성 | 山西省 | 산시성 | 晉 : | 太原:타이위엔 | 30,450,000 | |
섬서성 | 陝西省 | 산시성 | 峽, 秦 | 西安:시안 | 34,810,000 | |
감숙성 | 甘肅省 | 깐쑤성 | 甘 : 깐 | 蘭州:란쪼우 | 23,780,000 | |
청해성 | 靑海省 | 칭하이성 | 靑 : 칭 | 西寧:시닝 | 4,740,000 | |
산동성 | 山東省 | 산똥성 | 魯 : 루 | 濟南:지난 | 86,710000 | |
안휘성 | 安徽省 | 안후에이성 | 合肥:허페이 | 59,550,000 | ||
강소성 | 江蘇省 | 지양쑤성 | 蘇 : 쑤 | 南京:난찡 | 70,210,000 | |
절강성 | 浙江省 | 저지양성 | 浙 : 저 | 杭州:항조우 | 42,940,000 | |
강서성 | 江西省 | 지양시성 | 南昌:난창 | 40,150,000 | ||
복건성 | 福建省 | 푸지엔성 | 閔 : 민 | 福州:푸조우 | 31,830,000 | |
호남성 | 湖南省 | 후난성 | 湘 : | 長沙:창사 | 63,550,000 | |
호북성 | 湖北省 | 후뻬이성 | 鄂 : | 武漢:우한 | 57,190,000 | |
광동성 | 廣東省 | 꽝똥성 | 廣州:꽝쪼우 | 66,890,000 | ||
사천성 | 四川省 | 쓰추안성 | 川, 蜀 | 成都:청뚜 | 81,750,000 | |
귀주성 | 貴州省 | 꾸에이쪼우성 | 貴 | 貴陽:꾸에이양 | 34,580,000 | |
운남성 | 云南省 | 윈난성 | 昆明:쿤밍 | 39,390,000 | ||
해남도(성) | 海南島 | 하이난따오 | 瓊 : | 海口:하이코우 | 7,110,000 | |
대만 | 臺灣 | 타이완 | 臺 : 타이 | 臺北:타이뻬이 | 21,379,000 | |
5개의 | 내몽고 | 內蒙古 | 네이 멍 꾸 | 內蒙古 : | 呼和浩特: | 22,600,000 |
신강 위구르 | 新疆 維吾爾 | 신지양 웨이우얼 쯔 즈 취 | 新 : 신 | 烏魯木齊: | 16,320,000 | |
서장 자치구 | 西藏 自治區 | 시 짱 | 藏 : 짱 | 拉薩:라싸 | 2,360,000 | |
광서 장족 | 廣西 壯族 | 꽝 시 쭈앙 쭈 | 桂 : 꾸에이 | 南寧:난닝 | 44,930,000 | |
영하 회족 | 寧夏 回族 | 닝샤 후에이쭈 | 寧 : 닝 | 銀川:인추안 | 5,040,000 | |
2개의 특별 행정구 | 홍콩 | 香港 | 샹 강 | 港 : 강 | 6,307,900 | |
마카오 | 澳門 | 아오 먼 | 澳 : 아오 | 410,500 |
'▣와이투케이이모저모 >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수연 무소속 예비후보, 총선 익산 을 출마 공식화 (0) | 2020.02.13 |
---|---|
4.15총선 출마해요=배수연 예미샘 이사장(익산을.무소속) “행복한 힐링도시 익산 건설” (0) | 2020.02.04 |
4대강사업 탓에 직장 잃은 연봉 5천 '월급쟁이' (0) | 2019.09.08 |
선물용 제주 한라산소주 미니어쳐 (2) | 2019.08.19 |
어느 초등학생이 그린 20년후의 세계지도 (0) | 2019.07.05 |